반응형

고장해석 2

2선 지락 발생 시 고장 해석에 대한 유도법 (송배전공학)

2선 지락 발생시 고장해석방법에 대하여 포스팅을 올리고자 합니다.해당 수식들은 책에 나와있지 않아 제가 공부하면서 작성해본 부분이라조금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 더 단순화된 계산이 있을수도 있으나,저만의 방법으로 해석한 부분이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해당 개요도를 기본으로 해석합니다. 먼저 기지량을 작성해봅니다.기지량을 산정할때 우선 b상과 c상의 단자 상전압이 대지와 닿았으므로 다음과 같으며이경우 지락에 의한 a상의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다음과 같은 기본식이 주어집니다.여기서부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b, Vc=0 이므로다음과 같이 수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식을 통해 정산 전압분과 역상 전압분의 값이 같음을 확인하였습니다.이를 이용하여 Vb에 다시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1선 지락 발생 시 고장 해석식에 대한 유도법 (송배전공학)

1선 지락은 전체 사고의 약 70%를 차지할 만큼 가장 중요한 고장 원인입니다.1선 지락 발생은 그만큼 시험에도 자주 나오고, 관련 내용은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지하고 있어야,추후에 고장 해석에 대한 계산과 풀이가 가능합니다. 학습을 위하여 해당 수식을 유도하고,이를 기록하니, 수식으로 이를 학습하시고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굉장히 간단한 내용이니 차근차근 풀어보시면 됩니다. 먼저 발전기의 기본 대칭좌표법을 적습니다.이는 발전기에서 나오는 기전력 E_a, E_b, E_c의 전압강하와, 선로 불평형에 대한 내용에 대하여 모델링 하였다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단자에서 보는 전압은 다양한 사유에 의하여 변동되기 떄문에 이를 전압강하 식으로 동시에 모델링 한 상황으로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