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S전선 2

154kV,345kV용 XLPE 지중 케이블 (한전용)

안녕하세요.154kV 용 XLPE 케이블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일반적으로 154kV, 345kV급은 가공선이 주로 사용이 되었습니다.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이런 철탑은 가공선이라고 하며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나동선으로 되어 있습니다.이러한 가공송전기술이 널리 사용되다가다양한 이유로 (미관상, 송전용량, 관리방법, 전자파 관련 민원 등)케이블의 지중화가 이루어 졌습니다.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미관이 제일 이슈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그럼으로 인해 도시화가 되어있는 곳에서는 더이상 이러한 가공선로를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가공선로가 없는 곳이 바로 지중선로가 대체된 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저러한 철탑을 볼 수 없다면, 변전소를 통해 지중화된 초고압케이블이 땅속에 설치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케이블, 전선의 도체의 사이즈가 이론적인 사이즈보다 작은 이유

케이블의 도체사이즈, 동량을 확인 하거나, 또는 분석하실 때 이론적인 도체의 크기 인 SQMM 보다 작다고 느껴지신 경우가 있으실 것입니다. SQMM는 앞에서 말씀 드린바와같이 mm의 제곱 즉 (㎟)의 의미로, 도체의 단면적의 넓이를 의미합니다. 만약 500SQ라고 하면 도체의 사이즈가 당연히 500㎟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왜 그거보다 작아질 수 있었을까요. 이유는 바로 검사에 대한 기준 때문입니다. 도체의 사이즈는 KSC IEC 60228이라는 규정을 통해 도체의 표준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 표준을 따라서 보시면 됩니다. 하기 LS전선에서 발췌한 카탈로그를 보시면 도체저항 란이 있습니다. 이 도체저항은 위에서 규정한 도체에 대한 규정 KS C IEC 60228에 준하는 규정이며, 즉 해당 도체저항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