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3

수차의 비속도의 개념 및 공식 유도 (발전공학)

안녕하세요.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수차의 비속도 공식 유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자 합니다.우선 비속도라는 것은 속도 + 비 의 의미인데여기서 말하는 비는 비율의 비 즉 比를 의미합니다. 저는 학습하기전에는 非속도 인줄 알았는데,저만 그렇게 생각했을까요.이번에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된 가장 중요한 것이바로 이 비속도는 비율, 즉 정확하게 모델링을 축소하여 만든 속도를 의미한다는 것을알게 되었다는 점 입니다. 우선D1의 지름을 가진 수차와 D2의 지름을 가진 수차가 있을때하기와 같이 지름을 기준으로 비율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D2는 우리가 기본으로 삼고자 하는 수차가 되며이 수차는 1kw의 출력을 가진 유효낙차 1m의 수차를 의미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식 전개가 가능합니다. 1. v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7.01

전력 원선도의 개념, 전력원선도의 작성 방법, 전력원선도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사항, 조상설비의 운영방법

전력원선도의 경우 송배전공학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정전압 송수전 자체가 불가능하며 2개의 Node만으로 구성된 선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력원선도에 대한 내용은 한번만 학습해도 기억에 오래 남기 때문에 학습하시는 분들은 시간날때 한번정도 공부를 하시면 비슷한 문제가 시험에 나왔을때 이해하기 좋을 것 입니다. 또한 이 문제들은 대부분 산수 정도의 수학만 들어가므로, 전력의 기본원리를 알고 있다면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전력원선도의 개념 - 정전압 송전방식 사용 시 송수전단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 하도록 조건들을 맞춘다면 송전단과 수전단의 전력은 전압간의 상차각 δ에 의하여 움직이게 된다. - 이때 송수전단의 전력의 변화의 궤적을 추적하면 원의 형태..

3전류계를 이용한 전력의 측정 (3전류계법에 대한 벡터적 이해)

3전압계법 과 마찬가지로단상 교류전원에서는 3전류계로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압에 대한 이해 즉 제3전압계법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제3전류계도 비슷한 원리이기 때문에 같이 공부하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제3전압계법과 마찬가지로 원리자체는 단순하니 같이 학습하면 좋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회로이론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다. 첨부된 그림과 같이 저항을 부하와 병렬로 설치 한 뒤송전측, 그리고 저항측, 그리고 부하측에 각각 전류계를 설치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봐주면 된다. 부하의 경우 전압계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부하인 지상부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를 보면 V_0로 표시된 부분이 있는데,이는 I_2가 흐르는 부분과 I_3가 흐르는 부분의 전압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