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선 단락 발생시 고장 해석에 대한 유도를 해보고자 합니다.
2선 단락은 2개의 상이 상간으로 붙었음을 의미합니다.
2선 지락과는 조금 차이가 있죠.
해당 고장에 대한 해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위와 같이 b상과 c상의 단락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하겠습니다.
이경우 다음과 같이 기지량에 대한 기본식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먼저 Ib=-Ic의 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수식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이 수식을 바탕으로 I_a=0 임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수식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이로서 I_0가 0임을 알았습니다. (지락이 아니므로 I_0가 0인거는 당연한거긴 합니다.)
I_0가 0임에 따라 다음 수식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V_b=V_c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식이 전개 가능합니다.

이제 기본 기지량을 파악 하였으니
발전기 기본식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발전기 기본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 여러번 봐서 익숙하실 것 같습니다.
먼저 I_0가 0 이므로 다음식을 먼저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V1 과 V2가 같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수식을 쓸 수 있습니다.

이로서 I_1 을 구하였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미지량을 구해볼 예정입니다

이제 I_c를 동일하게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b와 Ic는 반대방향 전류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마이너스를 제거한 숫자가 나왔습니다.
이제 Va를 구해보겠습니다.

이제 Vb, Vc를 구해보겠습니다.

이로서 2상 단락에 대한 미지량 계산을 완료 하였습니다.
관련하여 산출 시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편하게 댓글로 달아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최신송배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전압계를 이용한 전력의 측정 (3전압계법에 대한 벡터적 이해) (0) | 2025.04.23 |
---|---|
2선 지락 발생 시 고장 해석에 대한 유도법 (송배전공학) (0) | 2025.04.23 |
1선 지락 발생 시 고장 해석식에 대한 유도법 (송배전공학) (2)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