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송배전공학

2선 지락 발생 시 고장 해석에 대한 유도법 (송배전공학)

최띨띨 2025. 4. 23. 09:54
반응형

2선 지락 발생시 고장해석방법에 대하여 포스팅을 올리고자 합니다.

해당 수식들은 책에 나와있지 않아 제가 공부하면서 작성해본 부분이라

조금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

 

더 단순화된 계산이 있을수도 있으나,

저만의 방법으로 해석한 부분이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해당 개요도를 기본으로 해석합니다.

 

먼저 기지량을 작성해봅니다.

기지량을 산정할때 우선 b상과 c상의 단자 상전압이 대지와 닿았으므로 다음과 같으며

이경우 지락에 의한 a상의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본식이 주어집니다.

여기서부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b, Vc=0 이므로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식을 통해 정산 전압분과 역상 전압분의 값이 같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Vb에 다시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로서 V0, V1, V2가 같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다시 a상 전압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상의 전압을 확인하였습니다. 쉽죠?

 

그 뒤에 Ia를 산출해보는데 이때 발전기 기본식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먼저 발전기 기본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가져오겠습니다.

유도식은 제 블로그에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수식은 고장해석에 가장 기본적인 툴이 되는 식으로 암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유도도하면 좋습니다.

 

이를 I에 대한 식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식을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Ia = 0 이므로 수식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V0를 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Va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Ib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렇게 Ib를 구했습니다.

 

동일한방법으로 Ic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상으로 2선 지락시 고장 해석을 하였습니다.

 

2선 지락에 대한 유도식은 하다보면 익숙해지므로

천천히 많이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식도 제가 직접 제마음 대로 산출하다보니,

조금 어렵게 돌아간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각자 이해도에 따라 풀이방법이 달라지는 부분이니,

너그럽게 이해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